본문 바로가기
한국 주식

EV/EBITDA를 사용하는 방법

by likeBuffett 2023. 5. 11.
반응형

기업가치평가방법 중 하나로 EBITDA라는 용어 들어보셨나요?

이 방법은 기업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세후영업이익과 감가상각비 등 비현금성비용을 합한 값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쉽게 말해서 돈을 얼마나 버는지 보여주는 지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EBITDA를 이용해서 투자지표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EV/EBITDA란 무엇인가요?

EV(Enterprise Value)는 기업가치이고, EBITDA(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는 이자 및 세금 차감 전 이익이에요. 즉, 한마디로 말하면 “돈을 얼마나 벌었는가”입니다. 만약 어떤 기업의 시가총액이 10억 원이고, 매년 벌어들이는 당기순이익이 1억 원이라면 해당 기업의 EV/EBITDA는 10배가 되겠죠?

 

투자지표분석 시 EV/EBITDA를 많이 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EV/EBITDA는 ‘얼마나 많은 돈을 벌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에 현재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는지 고평가 되어있는지 판단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요. 또한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성장세를 보이는 기업일수록 높은 수치를 기록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미래 수익성이 기대되는 기업인지 아닌지를 파악할 수 있답니다.

 

그렇다면 EV/EBITDA 말고 다른 지표는 없나요?

물론 있죠! PER, PBR 같은 지표들이 있지만 아무래도 좀 더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건 EV/EBITDA인 것 같아요. 하지만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모든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 절대적인 지표는 아니기 때문에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주식시장에서 가치주냐 성장주냐 하는 논쟁은 항상 뜨겁죠. 저는 개인적으로 시장상황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성장가능한 기업들을 선호하는데요, 그런 기업 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전기차 관련주인 테슬라겠죠? 테슬라는 지금까지도 엄청난 성장률을 보이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예정이니 말이죠. 여러분들도 각자 자신만의 방식으로 좋은 기업을 찾아내어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한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가스 기업 분석  (0) 2023.05.10
서울가스 주가  (0) 2023.05.04
전환사채납부연기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0) 2023.04.28
EV/EBITDA 란  (0) 2023.04.06
재무제표 보는법  (0) 2023.04.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