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주식

재무제표 보는법

by likeBuffett 2023. 4. 5.
반응형

주식 투자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재무제표! 하지만 주식투자 초보인 주린이에게는 너무 어렵고 복잡한 내용이죠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이번 주제는 <제무제표 보는 법>입니다. 기업의 재무상태나 경영성과 등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지표이기 때문에 필수로 알아둬야 합니다. 특히 매출액과 영업이익률 그리고 당기순이익율 이 세가지 항목은 항상 체크해야 하는데요~ 먼저 매출액이란 기업이 일정기간 동안 판매한 상품 또는 용역의 총액을 의미하는데요. 즉, 한 해 동안 얼마만큼의 돈을 벌었는지 알 수 있는 지표라고 할 수 있죠. 다음으로 영업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와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를 뺀 금액이에요. 쉽게 말해 물건을 팔아서 남긴 이익금이라고 할 수 있겠죠? 마지막으로 당기순이익은 영업이익에서 금융수익과 금융비용을 더하고 법인세를 뺀 나머지랍니다. 이렇게 총 세 가지 항목을 살펴보았는데요. 이를 토대로 어떤 기업이 좋은 기업인지 판단할 수 있답니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알아볼까요?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율(영업이익률)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가 바로 영업이익률이랍니다. 만약 100억원의 매출을 올린 기업이 1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면 영업이익률은 10%가 되겠죠? 따라서 해당 기업의 영업이익률이 높을수록 안정적인 사업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반대로 영업이익률이 낮다면 그만큼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겠네요.

 

당기순이익 vs 영업이익 차이가 뭔가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당기순이익은 영업이익에서 이자비용, 세금 등을 제외한 순이익을 말합니다. 반면 영업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와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를 차감한 순수익을 말하는데요. 예를 들어 A라는 기업이 1년 동안 10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5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고 가정했을 때, 당기순이익은 4억5천만원이 됩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실제로 벌어들인 현금과는 상관없이 장부상의 기록만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실제 회사의 실적이라 보기엔 무리가 있다는 점 참고하세요!

 

재무제표 분석 시 주의사항이 있나요?

 

먼저 부채비율이라는 용어 많이 들어보셨죠? 말 그대로 자본총계/부채총계 로 표시되는데요. 수치가 낮을수록 건전한 재무구조를 가진 기업이라고 할 수 있지만 무조건 낮다고 해서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오히려 지나치게 낮을 경우 향후 외부로부터 자금조달이 어려워질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유동비율 역시 자주 등장하는 용어인데요. 유동자산/유동부채 를 뜻합니다. 이것 역시 숫자가 높을 수록 좋지만 200% 이상이면 안전하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오늘은 재무제표 보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앞으로는 어렵지 않게 이해되시죠? 여러분 모두 성투하시길 바라며 저는 이만 물러가겠습니다^^

반응형

'한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환사채납부연기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0) 2023.04.28
EV/EBITDA 란  (0) 2023.04.06
기본적 분석이란  (0) 2023.04.02
기술적 분석이란  (1) 2023.04.02
실적 좋은 회사 찾는 방법  (2) 2023.04.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