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에서는 수많은 종목들이 거래되고 있고, 이 중에서도 어떤 종목을 선택해야 수익을 낼 수 있을지 많은 투자자들이 고민하고 있다. 특히 주식투자 경험이 많지 않은 개인투자자라면 더욱 신중하게 종목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숙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재무제표분석, 사업보고서 등을 통한 재무상태 파악, 주가수익비율(PER)과 주가순자산비율(PBR) 같은 지표 활용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기술적 분석이다.
기술적 분석이란 무엇인가요?
기술적 분석은 차트를 이용해서 주가의 흐름을 예측하는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한 회사의 주가가 상승추세인지 하락추세인지 판단하려면 해당 회사의 주가차트를 보고 추세를 파악하면 됩니다. 즉, 주가는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움직이기 때문에 그러한 움직임을 나타내는 그래프인 차트를 통해서 주가의 향방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죠. 또한 개별종목뿐만 아니라 시장 전체의 동향을 파악하는데도 유용하게 쓰입니다.
기술적 분석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기술적 분석방법에는 이동평균선, 거래량, 캔들스틱, 패턴분석, 파동이론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이 중에서 주로 쓰이는 몇 가지 이론만을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이동평균선 - 5일, 10일, 20일, 60일, 120일 선 등 특정 기간 동안의 주가 변동을 산술평균한 값을 연결한 선으로서 단기매매시점 포착 및 중장기 매매시점 포착에 많이 쓰인다.
거래량 - 매수량과 매도량의 비율로서 매수세와 매도세의 힘을 가늠할 수 있게 해 준다.
캔들스틱 - 봉차트라고도 하며 시가, 고가, 저가, 종가 4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양봉과 음봉이라는 2가지 형태로만 표시되며, 각각 빨간색 또는 파란색으로 표현된다.
패턴분석 - 바닥형, 역망치형, 망치형, 도지형, 유성형, 샛별형, 교수형, 비석형, 원형바닥형, 십자형, 쐐기형, 삼각형, 깃발형, 관통형, V자형, 삼중천정형, 지그재그형, 급등락형, 급락반전형, N자형, 계단식 상승형, 쌍봉형, 더블탑형, 헤드 앤 숄더형, W자형, 다이아몬드형, 채널형, 정배열, 역배열 등 매우 다양한 모양새를 띠고 있다.
파동이론 - 엘리엇 파동이론, 피보나치수열, 그랜빌의 법칙 등이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술적 분석은 보조지표나 전문용어 없이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지만, 그만큼 오류 발생 확률도 높다. 따라서 정확한 정보수집과 철저한 분석을 통해 접근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환사채납부연기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0) | 2023.04.28 |
---|---|
EV/EBITDA 란 (0) | 2023.04.06 |
재무제표 보는법 (0) | 2023.04.05 |
기본적 분석이란 (0) | 2023.04.02 |
실적 좋은 회사 찾는 방법 (2) | 2023.04.01 |
댓글